본문 바로가기
INFO

육십갑자표 나이 조견표 (60갑자표)

by neostop0305 2025. 7. 27.
반응형

육십갑자표(60갑자표) 조견표 완전 가이드

동양철학의 뿌리 깊은 지혜가 담긴 육십갑자표(六十甲子)는 시간 ― 특히 연·월·일·시(時) ― 을 입체적으로 기록하기 위해 고안된 60단위 순환 체계입니다. 오늘날에도 사주명리, 풍수, 궁합, 개업일 선택, 길일(吉日) 산정 등 삶의 중요한 의사결정에서 꾸준히 60갑자표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육십갑자표 나이 조견표육십갑자표 나이 조견표육십갑자표 나이 조견표
육십갑자표 나이 60갑자 조견표

본 글에서는 천간(天干)·지지(地支)의 작동 원리부터 60개 모든 간지(干支) 조합, 계산법, 그리고 현대적 활용법까지 한눈에 살펴보실 수 있도록 육십갑자 조견표를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육십갑자란 무엇인가?

육십갑자는 10개의 하늘 기운(천간)12개의 땅 기운(지지)이 서로 순차적으로 맞물려 탄생한 60가지 음양오행의 조합입니다. 두 열의 길이가 서로 다른 덕분에 ‘톱니바퀴’처럼 돌아가며 60번째에서야 원점으로 회귀합니다. 이를 갑자(甲子)로 시작해 계해(癸亥)로 끝나는 하나의 큰 주기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천간(天干) : 갑 · 을 · 병 · 정 · 무 · 기 · 경 · 신 · 임 · 계
    • 각 글자는 양(陽)·음(陰) 여부와 木·火·土·金·水 오행을 품고 있습니다.
    • 예) ‘갑’은 양·목(陽木), ‘을’은 음·목(陰木)…
  • 지지(地支) : 자 · 축 · 인 · 묘 · 진 · 사 · 오 · 미 · 신 · 유 · 술 · 해
    • 열두 띠 동물(쥐, 소, 호랑이 등)과 연결되며, 역시 음양오행 속성을 가집니다.
    • 예) ‘자’는 음·수(陰水), ‘오’는 양·화(陽火)…

천간이 10번째를 지나면 다시 ‘갑’으로, 지지가 12번째를 돌면 다시 ‘자’로 돌아오므로, 두 바퀴가 동시에 제자리로 오는 최소공배수인 60회 만에 동일한 조합이 반복됩니다.


천간 열 가지 ‑ 성질과 상징

갑을병정 무기경신임계 뜻

순서 천간 음/양 오행 키워드 요약
1 갑(甲) 시작, 창의, 발아
2 을(乙) 순응, 성장, 유연
3 병(丙) 열정, 광명, 추진
4 정(丁) 섬세, 정열, 지혜
5 무(戊) 중심, 신뢰, 안정
6 기(己) 양육, 포용, 숙성
7 경(庚) 결단, 쇠퇴, 혁신
8 신(辛) 절제, 숙련, 정리
9 임(壬) 대의, 융통, 포괄
10 계(癸) 지혜, 비전, 은밀

활용 팁: 천간 속성을 이해하면 해·월·일·시주의 기운이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가는지, 또 서로 상생(相生)·상극(相剋) 관계를 맺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지지 열두 가지 ‑ 성질과 상징

순서 지지 음/양 오행 동물(띠) 키워드 요약
1 자(子) 지혜, 민첩, 번식
2 축(丑) 성실, 인내, 착실
3 인(寅) 호랑이 리더, 용기, 모험
4 묘(卯) 토끼 우아, 온화, 순응
5 진(辰) 권위, 발전, 포용
6 사(巳) 통찰, 집요, 매혹
7 오(午) 열정, 질주, 자유
8 미(未) 평화, 조화, 미학
9 신(申) 원숭이 재치, 발랄, 교섭
10 유(酉) 정확, 근면, 변혁
11 술(戌) 충성, 방위, 정의
12 해(亥) 돼지 관용, 대인, 낙천


천간·지지 결합 원리

  1. 동시 전진 방식 : 갑(1)과 자(1)로 출발한 두 축은 각각 +1씩 이동합니다.
  2. 최소공배수 60 : 10과 12는 60에서 다시 만나므로 총 60조합이 생성됩니다.
  3. 음양 균형 : 홀수차(1·3·5…)는 모두 양, 짝수차(2·4·6…)는 음 — 날짜에도 자연스레 양·음이 교차합니다.
  4. 오행 순환 : 木 → 火 → 土 → 金 → 水 → 다시 木… 순으로 천간·지지가 각각 돌며 ‘대(大)우주’와 ‘소(小)우주’ 사이 공진을 이룹니다.

60갑자 조견표

아래 표는 번호·간지·천간 속성·지지 속성을 한눈에 정리한 60갑자 완성형 조견표입니다. 간단히 번호 = (연도 − 1984) % 60 + 1 공식으로 위치를 찾으시면 됩니다.

육십갑자 조견표

번호 간지 천간(음/양,오행) 지지(음/양,동물,오행)
1 갑자 갑(양,목) 자(음,쥐,수)
2 을축 을(음,목) 축(음,소,토)
3 병인 병(양,화) 인(양,호랑이,목)
4 정묘 정(음,화) 묘(음,토끼,목)
5 무진 무(양,토) 진(양,용,토)
6 기사 기(음,토) 사(음,뱀,화)
7 경오 경(양,금) 오(양,말,화)
8 신미 신(음,금) 미(음,양,토)
9 임신 임(양,수) 신(양,원숭이,금)
10 계유 계(음,수) 유(음,닭,금)
11 갑술 갑(양,목) 술(양,개,토)
12 을해 을(음,목) 해(음,돼지,수)
13 병자 병(양,화) 자(음,쥐,수)
14 정축 정(음,화) 축(음,소,토)
15 무인 무(양,토) 인(양,호랑이,목)
16 기묘 기(음,토) 묘(음,토끼,목)
17 경진 경(양,금) 진(양,용,토)
18 신사 신(음,금) 사(음,뱀,화)
19 임오 임(양,수) 오(양,말,화)
20 계미 계(음,수) 미(음,양,토)
21 갑신 갑(양,목) 신(양,원숭이,금)
22 을유 을(음,목) 유(음,닭,금)
23 병술 병(양,화) 술(양,개,토)
24 정해 정(음,화) 해(음,돼지,수)
25 무자 무(양,토) 자(음,쥐,수)
26 기축 기(음,토) 축(음,소,토)
27 경인 경(양,금) 인(양,호랑이,목)
28 신묘 신(음,금) 묘(음,토끼,목)
29 임진 임(양,수) 진(양,용,토)
30 계사 계(음,수) 사(음,뱀,화)
31 갑오 갑(양,목) 오(양,말,화)
32 을미 을(음,목) 미(음,양,토)
33 병신 병(양,화) 신(양,원숭이,금)
34 정유 정(음,화) 유(음,닭,금)
35 무술 무(양,토) 술(양,개,토)
36 기해 기(음,토) 해(음,돼지,수)
37 경자 경(양,금) 자(음,쥐,수)
38 신축 신(음,금) 축(음,소,토)
39 임인 임(양,수) 인(양,호랑이,목)
40 계묘 계(음,수) 묘(음,토끼,목)
41 갑진 갑(양,목) 진(양,용,토)
42 을사 을(음,목) 사(음,뱀,화)
43 병오 병(양,화) 오(양,말,화)
44 정미 정(음,화) 미(음,양,토)
45 무신 무(양,토) 신(양,원숭이,금)
46 기유 기(음,토) 유(음,닭,금)
47 경술 경(양,금) 술(양,개,토)
48 신해 신(음,금) 해(음,돼지,수)
49 임자 임(양,수) 자(음,쥐,수)
50 계축 계(음,수) 축(음,소,토)
51 갑인 갑(양,목) 인(양,호랑이,목)
52 을묘 을(음,목) 묘(음,토끼,목)
53 병진 병(양,화) 진(양,용,토)
54 정사 정(음,화) 사(음,뱀,화)
55 무오 무(양,토) 오(양,말,화)
56 기미 기(음,토) 미(음,양,토)
57 경신 경(양,금) 신(양,원숭이,금)
58 신유 신(음,금) 유(음,닭,금)
59 임술 임(양,수) 술(양,개,토)
60 계해 계(음,수) 해(음,돼지,수)

60갑자 조견표


연·월·일·시에서 간지 찾는 간단 공식

  1. 연(年)주
    • 기준점 1984 = 갑자(1번).
    • 공식: (해당 양력연도 − 1984) % 60 + 1 → 위 표 번호.
    • 예) 2025년 → (2025‑1984)=41 → 41 + 1 = 42 → 을사년.
  2. 월(月)주
    • 같은 해의 절기(입춘·경칩…)를 기준으로, ‘입춘 이후 첫 달’을 寅月(인월)이라 놓고 차례대로 부여.
    • 예) 을사년 음력 3월은 ‘辰月(진월)’에 해당.
  3. 일(日)주
    • 만세력·천문 알고리즘 또는 앱 활용. (일주 주기는 60일마다 반복)
  4. 시(時)주
    • 자시(23:00‑00:59)를 기준으로 2시간 단위 총 12시각을 대응.
    • 예) 오전 9시 30분 → 巳時(사시).

실전 예시: 2025‑07‑27 09:30 KST

  • 연주 : 을사년(42번)
  • 월주 : 丁未월(정미) – 6월 5일 입하~7월 6일 소서 사이의 6번째 달
  • 일주 : 무오일(만세력 기준)
  • 시주 : 巳時(사시) → 병사(丙巳)

따라서 을사·정미·무오·병사 네 기둥이 완성됩니다. 이를 기반으로 오행 균형, 용신(用神), 통변(通變)을 진행하면 개인 사주 분석이 가능합니다.


현대 생활 속 육십갑자 활용법

  1. 개업·이사 길일 : 간지의 상생 관계(예: 木생火)와 천간충·지지충을 교차 검토해 불리한 날 피하기.
  2. 계약·투자 시점 : 큰 금액이 오가는 경우 ‘경제 술사(術士)’들이 간지를 활용해 시장심리·천시(天時)를 읽습니다.
  3. 문화·예술 콘텐츠 : K‑드라마·무협소설 속 인물생년, 이벤트 날짜 설정에 리얼리티 부여.
  4. 데이터 과학 & 코딩 : 주기성이 뚜렷한 60단위 인덱스(예: 센서 데이터·요일 대체 표기)에 응용 가능.
  5. 퍼스널 브랜딩 : SNS·블로그 필명에 본인 일주를 녹이면 기억성과 스토리텔링이 높아집니다.

맺음말

육십갑자는 단순히 옛날 방식의 달력 표기가 아닙니다. 우주 자연의 질서(천간)와 인간 삶의 현장(지지)이 60번의 호흡을 주고받는 거대한 순환 구조입니다. 이 틀을 이해하면 과거와 현재, 나아가 미래에 대한 통찰이 훨씬 깊어집니다. 사업 일정, 건강 관리, 인간관계 등 실생활에서도 유용하게 쓰이니, 오늘부터 간지 흐름을 메모해 보시기 바랍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보이지 않는 리듬’이 확실히 느껴지실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