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박 순치기 방법과 애플수박 순 지르기 그림 완벽 가이드
텃밭의 여름 대표 작물인 수박은 ‘넝쿨 식물답게 뻗어가는 덩굴’이 매력인 동시에 재배의 난관이기도 합니다. 넝쿨을 그대로 두면 잔가지(곁순)가 무질서하게 뻗어 햇볕·양분·공간을 소모해 과실 비대가 늦어집니다. 그래서 수박 순치기 방법은 본잎 45매 시점에 주간(엄마순)을 적심하고, 2~3개의 곁순만 남기는 ‘순치기(적심·순 지르기)’가 필수 관리로 자리 잡았습니다.
농촌진흥청 작물 정보에서도 ‘20~30 cm 자란 곁순 중 길이가 비슷한 두 개만 유인해 15~20절 부근 암꽃에 착과시키라’고 권장합니다.
수박 순치기 방법과 필요성
순치기란?
- 적심(摘心): 주간의 생장점을 제거해 생장 에너지를 곁순으로 분배
- 곁순 정리: 과도한 측지를 잘라 햇빛·통풍·양분 경쟁을 완화
- 착과 관리: 남겨둔 곁순에 암꽃을 1~2개만 착과시켜 과실 크기·당도 상승
장점 — 공간 절약, 병해 최소화, 과실 품질 향상
주의 — 잎 제거 과다 시 광합성 부족·수분 결핍 발생 위험
단계별 수박 순치기 방법
1단계 – 주간 적심(1차 순 지르기)
- 본잎 4~5매 시기, 주간 끝 1 cm 위를 비스듬히 절단.
- 절단면은 계피 가루나 목탄가루로 살균.
- 이때부터 1일 1회 30 분 환기해 곰팡이 예방.
2단계 – 곁순 선별(2차 순 지르기)
- 발생 곁순 중 하단 2~3개만 남기고 나머지는 손톱으로 ‘연한 시점’에 제거.
- 남긴 곁순이 20~25 cm 자라면 U자 지주에 유인해 지면 접촉 최소화.
- 각 곁순에 15 절 전후 최초 암꽃이 피면 수꽃을 채취해 오전 8~9 시에 자연수분 보조.
3단계 – 착과 후 정리(3차 순 지르기)
- 과실 비대기(착과 뒤 7~10 일)
- 암꽃 뒤 첫 잎을 기준으로 3~4절만 남기고 곁순 끝 적심.
- 햇빛 투과를 방해하는 잔잎만 골라 제거(총 엽수 60% 이하 유지).
애플수박 전용 순 지르기 특화 전략
3엽 1과 재배형
애플수박은 소형 품종이므로 곁순을 3개만 두고, 각 곁순의 10~12절에서 1과씩만 달아 ‘3엽 1과형’으로 키우면 직경 12 cm, 무게 800~900 g 정도의 균일한 미니 수박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수직재배 팁
- T자형 지주망에 곁순을 45° 각도로 유인하면 통풍·채광이 향상됩니다.
- 과실은 150 g 이상일 때 망(슬링)으로 매달아 줄기 부하를 분산.
- 수확 10 일 전 질소 시비 중단·가리 추가해 당도를 끌어올립니다.
순치기 작업 시 위생·도구 관리
- 도구: 스테인리스 전지가위·알코올 70% 분무기·고무장갑.
- 소독: 매 절단 후 도구 날을 알코올 솜으로 닦아 세균 전염 방지.
- 상처 관리: 상처 부위가 촉촉하면 탄저병·덩굴마름병 유입 가능. 절단 후 1 시간 내 통풍 필수.
자주 묻는 질문(FAQ)
질문 | 답변 |
순치기 후 잎이 노랗게 변하는데? | 질소 과잉 또는 뿌리 활착 지연. 엽면 시비(칼슘·마그네슘)로 보정. |
곁순을 너무 많이 잘랐어요 | 광합성 잎 면적이 40% 이하로 떨어지면 생장 정지. 더 이상 절단하지 않고 아미노산 비료로 회복 유도. |
비 오는 날에도 작업해도 될까요? | 젖은 잎·줄기 절단은 곰팡이 확산 우려. 반드시 잎이 마른 오후 작업 권장. |
수박의 생물학적 분류
- 계: Plantae(식물계)
- 문: Magnoliophyta(피자식물문)
- 강: Magnoliopsida(쌍떡잎식물강)
- 목: Cucurbitales(박목)
- 과: Cucurbitaceae(박과)
- 속: Citrullus (수박속)
- 종: Citrullus lanatus (재배수박)
결론
수박 순치기는 ‘얼마나 초기에 방향을 잡아 주느냐’가 성패를 가릅니다. 주간 적심 → 곁순 2~3본 유인 → 착과 후 3차 정리라는 골격을 지키면, 한정된 텃밭에서도 고당도·고품질 수박을 안정적으로 수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형 애플수박은 3엽 1과형 관리만으로도 보기 좋은 구형과를 꾸준히 얻을 수 있으니, 올여름에는 순치기 전략으로 달콤한 성공을 맛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군 계급체계: 상장, 상좌, 대좌, 중좌, 전사 그리고 복무기간 (0) | 2025.06.13 |
---|---|
윈도우 특수문자 입력, 그리스문자 입력, 이모지 입력 단축키 Windows 로고 키 + . (0) | 2025.06.11 |
위기상황에 생명을 구하는 생존 매듭법 (0) | 2025.06.05 |
농업인 자격조건과 농가주택 허가조건 완전 정리 (2025 최신판) (0) | 2025.05.29 |
B형간염 항체 양성: HBs-Ag 음성·Anti-HBs 양성 해석과 ‘예방접종요함’이 뜨는 이유 (0) | 202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