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붉바리 시세·회 가격·낚시 채비·제철 완전 정복
붉바리 기본 정보
붉바리 생물학적 분류
- 계: Animalia
- 문: Chordata
- 강: Actinopterygii
- 목: Perciformes
- 과: Serranidae
- 속: Cephalopholis
- 종: Cephalopholis miniata (Coral hind)
붉바리 학명·영문명·별칭
- 학명: Cephalopholis miniata
- 영문명: Coral hind, Coral grouper
- 한국 별칭: 꽃능성어, 붉발
생태와 특징
붉바리는 평균 40 cm, 최대 60 cm 정도로 비교적 작은 바리과 어류입니다. 붉은 몸에 파란 점이 흩뿌려져 있어 시각적 식별이 쉽고, 산란 직후를 제외하면 사철 미각 차이가 적은 고급 어종으로 분류됩니다. 주 서식지는 수심 50 m 이하 암반 지대이며, 야행성 포식자로 새우·게·소형어를 사냥합니다.
붉바리 제철 (계절별 맛 변화)
산란기와 지방 축적
국내 남해·제주 해역에서 7 ~ 9월에 산란하며, 산란 직후 체력 회복을 위해 5 ~ 10월에 지방이 가장 잘 오릅니다. 산란기에 맞춰 살이 꽉 차는 6 ~ 9월이 대표적 제철로 여겨집니다.
지역별 제철 차이
- 고흥·완도 권역: 7 ~ 10월 최고 품질
- 제주권(다금바리 서식 해역): 수온이 낮아 6 ~ 9월 고품질
- 남해 동부(거문도·통영 일대): 5 ~ 7월 초기 시즌 물량 집중
2025년 붉바리 가격 시세 분석
노량진·산지 위판장 실거래
2025-07-17 기준 노량진수산시장 공판가는 활붉바리 가격은 70,000 원/kg를 기록했습니다.
인어교주해적단·네이버 밴드 붉바리 가격 비교
- 인어교주해적단: 500 g급 4.2 ~ 4.8 만 원/kg, 1 kg급 9 ~ 11 만 원/kg
- 네이버 밴드(도매 밴드): 동일 규격 대비 10 ~ 20 % 낮은 편
도소매 구조상 밴드를 통한 직거래가 가장 저렴하며, 공판장 가격 변동을 하루 단위로 확인해 두면 좋습니다.
크기별 붉바리 시세
중량 | 도매 평균 붉바리 가격 | 소매 평균 붉바리 가격 | 비고 |
400 ~ 600 g | 30 ~ 45 천 원/kg | 60 ~ 80 천 원/kg | 회수율 45 % |
1 kg 이상 | 80 ~ 100 천 원/kg | 120 ~ 140 천 원/kg | 구하기 어려움 |
구매 팁
- 위판장 경매 마감 직후에 활어차에서 바로 집입(입식)된 개체가 선도 최고.
- 7 ~ 8월 폭염기에는 활어 산소통 관리 여부 확인 필수.
- 가격 폭등기(명절·연휴 전)엔 선어(활어 숙성)를 노려 가성비 확보.
붉바리 회 가격 & 손질 비용
활어 vs 선어 손질 단가
- 활어 회 뜨기: 4 ~ 5 천 원/마리 (500 g급 기준)
- 선어(숙성) 손질: 2 ~ 3 천 원/마리
- 오로시·매운탕 거리: 3 ~ 5 천 원 별도
오로시·매운탕 부속료
- 대가리·뼈·지느러미 : 칼집 후 소주·된장·무 넣고 20 분 끓이기
- 내장 중 담낭 부위는 쓴맛 유발하므로 제거
가정 손질 요령
- 비늘 제거 후 배지느러미 기준 삼枚 떠서 숙성지(1 % 소금물) 12 시간.
- 껍데기(皮)부위는 1 cm 찬물 데침(湯引き) 후 얼음물에 바로 식혀 껍질회로 활용.
붉바리 낚시 채비 가이드
대상어 환경·포인트
- 수심 30 ~ 60 m 암반·수중여·침선 주변
- 야행성이라 해질 무렵~자정 bite window가 가장 길다
붉바리 외수질 채비 구성
항목 | 붉바리 낚시 채비 |
로드 | PE 2.0 ~ 3.0 대응 6 ft 베이트(외수질 專用) |
릴 | 3000 ~ 4000번 저깅릴, 기어비 5.8:1 전후 |
원줄 | PE #2 (30 lb) |
목줄 | FC 40 lb, 3 ~ 4 m |
봉돌 | 60 ~ 80 g 육각(조류 빨라지면 100 g) |
훅 | 지깅 훅 4/0 트윈, 바늘끝 역방향 가드 필수 |
외수질 채비와 포인트 분석 영상도 다수 공유되고 있어 입문자가 참고하기 좋습니다.
미끼·루어 선택
- 살아있는 흰다리새우·청갯지렁이
- 연안 지깅 시 메탈 지그 60 g, 핑크·글로우 색상에 반응 우수
시즌별 낚시 전략
- 5 ~ 6월: 수심 얕은 여밭 공략, 아침 만조 전후
- 7 ~ 8월: 폭염기 산소 포화도↓, 심해(50 m+) 직공 채비
- 9 ~ 10월: 체력 회복기로 왕성한 먹이활동, 플랫 지깅 효과적
붉바리 요리·매운탕 레시피
회 맛있게 먹는 팁
- 0 ~ 1 ℃ 활어급 숙성 12 h → 근섬유 이완으로 단맛 상승
- 백김치·깻잎보쌈 스타일 곁들이면 느끼함 최소화
매운탕·지리
- 머리·뼈 1 kg에 물 2 L, 무·대파·된장 1 T, 청양고추 2개 → 15 분
- 고춧가루·마늘·새우젓으로 칼칼하게 보강
- 결대로 썬 회 자투리를 마지막 30 초만 살짝 익혀 건져내면 육질 탄력 유지
지속가능한 소비 & 법적 유의사항
- 연중 30 cm 미만 어린 붉바리 포획 금지(수산자원관리법)
- 고흥군·전남권은 산란기 7 ~ 8월 부분 조업 제한 실시
- C&R(잡고 방류) 문화 확산으로 자원 보호 동참
결론
붉바리는 제철이 뚜렷하고 가격 변동 폭이 큰 고급 어종입니다. 산란기를 피해 6 ~ 9월에 맞춰 구매하거나 낚시하면 최고의 맛과 가성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낚시 채비는 외수질 전용 장비에 PE 2.0 내외를 기본으로 하며, 늘 법적 최소 체장과 자원 보호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시세는 노량진·산지 위판장 지표와 도매 밴드 가격을 병행해 확인하고, 회 손질·매운탕까지 활용하면 버릴 게 없는 완전체 해산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금시세, 금이빨 파는법 (0) | 2025.07.16 |
---|---|
카톡 친구 아닌 사람 차단, 프로필 비공개 설정 (0) | 2025.07.15 |
종근당 아목시실린 캡슐 500mg(Amoxicillin Cap. 500mg Pharma Chongkundang) - 페니실린계 항생제 (0) | 2025.07.14 |
고등어 낚시 시기, 시즌, 철 (0) | 2025.07.14 |
정지용 향수 시, 노래 가사 (0) | 2025.07.11 |